2023.11.20 (월)

  • 맑음동두천 11.3℃
  • 맑음강릉 13.0℃
  • 맑음서울 12.2℃
  • 맑음대전 13.2℃
  • 맑음대구 15.4℃
  • 맑음울산 13.5℃
  • 맑음광주 14.6℃
  • 맑음부산 14.6℃
  • 맑음고창 12.0℃
  • 맑음제주 14.9℃
  • 맑음강화 10.4℃
  • 맑음보은 12.0℃
  • 맑음금산 12.6℃
  • 맑음강진군 15.6℃
  • 맑음경주시 16.3℃
  • 맑음거제 10.5℃
기상청 제공

사회

경북도, 수산물 온·오프라인 윈윈 상생 할인!

- 경북 사이소몰 등 최대 20% 할인판매 지원 -
- 홍보 행사를 통한 수산물 소비 촉진 활성화 계기 마련 -

[경북투데이 보도국] === 경북도는 수산물 물가 안정과 소비 촉진을 위해 올해 12월까지 수산물 상생할인 지원사업을 적극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온·오프라인(메가쇼 시즌2, 사이소몰, 바로마켓, 지역특산물 협의회 연계 판촉전)등에서 판매되는 도내 수산물 할인 비용 및 홍보행사 지원, 수산물 판매 소상공인의 택배비까지 지원한다.

 


도는 지난 9일부터 12일까지 일산 킨텍스 전시홀에서 개최된 메가쇼 시즌216개의 경북 수산업체가 쿠폰 행사를 진행했다.

 

수도권 소비자에게 경북 수산물을 소개해 홍보 효과를 톡톡히 봤으며 동시에 소비자는 저렴한 가격으로 수산물을 구매할 수 있어 큰 호응을 얻은 바 있다.

 

또 경북도 농특산물 쇼핑몰인 사이소(www.cyco.co.kr)에서도 경북 16개의 수산식품기업 수산물에 대해 111일부터 1215일까지 최대 20% 할인판매를 지원하고 있으며, 도내 수산물 판매 소상공인에게 택배비를 지원하는 등 수산물 소비 촉진을 위한 예산지원을 아끼지 않을 예정이다.

 

한편, 경북도가 매주 토, 일요일마다 운영하는 농산물 직거래 장터바로마켓 경상북도점에서는 1118일부터 123일까지 3주간 도내 수산식품 전시홍보 및 쿠폰 할인전을 진행할 계획이다.

 


아울러 지역 특산수산물 협의회 소속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수산물 홍보 행사를 통해 소비 촉진 활성화에도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이번 수산물 상생 할인 지원사업을 통해 도내 수산물을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해 소비자 부담을 덜고, 어업인들은 수산물 소비량 증가로 경영안정에 도움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중권 경북도 환동해지역본부장은 이번 지원사업을 통해 전국 소비자에게 경북 수산물의 우수성을 알리고, 저렴한 가격으로 구매할 좋은 기회를 제공함과 동시에 소비 활성화를 촉진하는 계기가 되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수산업계에 많은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23년 수산물상생할인지원사업 개요>

 

 

 

 

기 간 : 2023. 10. 1. ~ 2023. 12. 31.

 

사업내용 : ·오프라인 할인행사(메가쇼시즌2, 사이소몰, 바로마켓, 지역특산물 협의회 연계 판촉전), 택배비 지원 등

사 업 비 : 200백만원(100, 100)

수행기관 : ()환동해산업연구원


투데이포커스

더보기


정치

더보기
코로나19 여파로 보건의료인력 피로 심각, 원활한 수급 지원
김원석 경상북도의회 의원(울진)은 코로나19 등으로 인한 보건의료인력의 피로가 극에 달하고 있는 상황에서 원활한 인력 수급과 복리증진을 위해 「경상북도 보건의료인력 지원 조례안」을 발의했다. 이번 조례안은 고령화시대와 코로나19 팬데믹 등 질병구조의 변화로 보건의료서비스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상황에서, 상당수의 보건의료인력들이 야간근무, 초과근무, 교대근무 등으로 어느 때 보다 열악한 근무환경에 놓여소진과 이탈 현상도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어, 이에 대한 지원 대책을 마련하고자 한 것이다. 보건복지부 자료에 따르면 2022년 경북의 인구 1천명당 활동 의사는 1.39명으로 전국 평균 2.18명에 한참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전국 17개 시·도 중 16위), 인구 1천명당 활동 간호사의 경우에도 전국 평균 4.85명 보다 낮은 3.99명(17개 시·도 중 13위) 그치는 등 경북의 보건의료인력은 그 어느 곳보다 과중한 업무 환경에 처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례안의 주요 내용은 ▲보건의료인력 지원을 시행계획의 수립·시행 ▲보건의료인력의 장기근속 유도 및 의료취약지 및 공공의료기관의 원활한 보건의료인력 확보를 위한 지원 사업 규정 ▲보건의료인력지원위원회의 설치

경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