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북투데이 발행인 >> 후포수협의 수산물유통센터신축공사로 발생된 피해주민들과의 6년의 길고긴 분쟁이 끝이 보인다. 지난 2019.2.7.일 공익감사신청결과 후포수협이 운영하고 있는 국유재산임대행위는 불법이라는 회답을 내렸다. 그동안 울진군과 포항 해수청으로 부터 수차례 감사를 받았지만 묵인되었다. 비영리사업으로 과장한 후포수협은 1994년 어민복지회관에 이어 2005년 수산물유통센터를 무상 건립한 후 약 20년간 임대수익을 취해 오면서도 그동안 울진군이나 해수부로부터 아무런 제재 없이 사용해 왔다. 하지만 후포수협의 위법 행위는 여기서 끝나지 않았다. 2012년 경 새로운 수협장이 당선되자` 10년 이상 더 사용해도 무관했던 기존 회 센터까지 철거하고 제2의 수산물유통센터신축공사를 시작하려다 후포면번영회와 인접주민들의 반대에 부딪친 후포수협이 고소로 대응하면서 분쟁의 불씨가 시작 되었다. @ 국유재산위에 건축중인 후포수협 수산물유통센터 공사장 지난 2014년 포항 TBC 방송 인터뷰에서 수협은 어민들에게 저가에 임대한다며 임대용도 임을 시인한바 있지만 해수부는 계약을 확인하지 못해다고만 주장하고 있다. - 주민들의 생존권보다 후포
<< 경북투데이 기동취재부 >> 지난 11월 휴일도 즐기고 가족과 함께 상주에서 대게를 먹으러 왔다는 이 모씨는 쉴 세 없이 후포항구를 운행하는 대형트럭들은 도대체 무엇을 운반하는지 도로에 온통 물 반죽 같은 모래를 유출시키고 다니는데 자신도 도로변에 섰다가 피해를 보았다고 제보했다. @ 관광객들이 찾는 여객선 터미널 인근 파손된도로 이날 본지기자가 운반차량 뒤를 미행 촬영한 결과 울진군 평해읍 월송리 소재 주) 승진이 운영하는 골재 채취장에서 건조되지 않은 골재를 반출하고 있었다. 현장에서 상차한 골재는 약 2k로를 운행 학곡리에 이르자 물모래가 홍수처럼 유출되기 시작하더니 약 4k 운행 후 후포고소주유소 로타리에 진입 도착지인 여객선 터미널에 이르기 까지 물 반죽이 같은 토사가 도로변에 뿌리다 싶이 달렸고 갓길에 주차한 차량들까지 피해를 입혔다. 한달이 지난 현재도 해안도로에는 당시 유출된 토사가 쌓여 있다. @ 유출된 토사는 비산먼지를 일어키는 주범이다. 살수차마저 운행하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맑은 세척수로 채워져야 세륜기 세륜수는 온통 흙탕물 범벅이 된 체 가동되고 있었고 규정 미달의 분진망으로 덮고 있던 야적된 골재
항만시설을 빙자한 후포수협의 무문별한 임대상가 건립으로 수년째 격고 있는 주차난 해결을 위해 울진군이 추진 중이던 삼풍수산(후포리 219 번지) 매입이 지난 12.15일 울진군 의회에서 부결 시켰다. [주차부족원인 제공자는 울진군과 해수부] [공용주차부지 후포수협임대상가건립부지로 허가 난발 ] 울진군이 평소 주차부지로 사용해야할 국유재산인 항만토지를 후포수협 임대용 상가건축부지로 사용도록 허가를 했고 몇 년 후 후포는 백년손님 남서 방 효과와 울릉도 여객선 운항으로 관광객들이 급격히 늘어나자 해안도로 마저 주차장으로 바뀌었다. @ 주차장으로 점용당한 해안도로 현장 @ 후포수협 임대용 상가 부지로 잠식당한 주차부지 (국유재산) 이에 주차난의 심각성을 깨달은 울진군이 부랴 부랴 삼풍수산을 매입하겠다는 계획을 세우는등 주차장 확보에 나섰지만 지역민들의 시선을 곱지 않았다. 왜? 기존 주차장은 수협임대시설 건립부지로 허가하고 또다시 군민의 혈세로 주차장을 매입해야 해야 하는지 납득이 안 된다는 것이었다. @ 지역민들의 안위를위해 사용해야할국유재산의 80%가 수협의 상가임대시설건립부지와 전용주차장으로 잠식 당했다. `매입후 발생될 추가손실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