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3 (토)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울진군] 울진대게와 붉은대게축제 기획사 배불리기용 개선촉구

- 관주도형 축제 후진국에서나 가능 -
- 사용내용비공개 -
- 울진군축제 수년간 독점계약한 대행사 -
- 축제예산 업체 배불리기용 -

[ 경북투데이 이재 기자 ] === 지난 16일 울진군은 2024년 울진 대게와 붉은대게 축제개최를 위해 준비위원회 회의를 가졌다.



 

이날 위원회 회의에서는 24년 축제에 앞서 지난해 울진 대게와 붉은대게 축제 평가 보고와 사업비 집행내역에 대한 공개를 요구하며 위원들의 질타와 개선요구가 쏟아졌다.

 

특히 후포면 발전협의회 손회장은 관 주도형으로 운영한 지난해가 축제이래 최악의 행사였다는 것이 지역주민들의 평가다. 작년에 이 자리에서  야시장 축소 와 프로그램개선 요구 결의 안건이  전혀 반영되지 않았는데..  형식에 자나지 않는 지역 위원회 회의가 무슨 의미가 있냐는 불만의 목소리가 터져 나왔다.

 

이어 그는 울진군이 지난 수년간 같은 기획사와 같은 프로그램으로 계약해 놓고도 공정한 평가에 의하여 선정했다고 하니  행정에 대한 불신이  높을수 밖에 없고 여기에 저녁 6시에 행사를 종료해 관광객을 위한 축제가 아니라 기획사 맞춤형 축제가 되었다. 

 

전체 내용으로 보면 2억 정도면 할 수 있는 축제다.

발전기대여비에서부터 수익사업으로 일부 예산을 충당하는 방안을 마련하면 나머지 예산 약 15천 정도는 좀 더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축제 때 방문객이 60억 원을 쓰고 갔다는 평가는 어떤 근거에서 나온 계산인지 모르나 아시다시피 야시장 손님 99% 가 지역주민들이다. 도리어 60억 원의 지역 자금이 외부로 빠져나갔다.

 

축제를 행정이 주도했던 이유가 기획업체 돈 벌어주기 위함인지 주민화합과 지역홍보를 위함인지 그 취지를 분명히 밝혀 달라고 했다.

 

아울러 그는 오늘 평가보고회에서 선진국 축제는 민간 주도형이라고 했는데 울진군 축제는  행정주도형이되어  군민을 머슴으로 만드는가 하면` 민간 위원들은 전시용에 불과했다. 

 

축제에 사용되는 돈은 우리 군민의 피 같은 돈이다. 주민을 위한 축제라면 주민화합의 장이 되도록 행정의 역할이 있어야 하는데 역사적으로 발전협의회가 메인이 되어 운영해오던 행사를 군이 집행권을 놓고 정치 계산에 맞춰 눈치 게임 하는 바람에 지역사회를 분열로 몰고 가고 있다.

 

내년 축제만은 투명하게 운영해 주고 주민 의견이 충분히 반영되도록 해달라고 했다



투데이포커스

더보기
경상북도의회, 경주에서 2025년 의원연수회 개최
[ 경북투데이보도국 ] === 경상북도의회(부의장 최병준)는 제357회 임시회를 마친 후, 9월 4일부터 5일까지 경주 힐튼호텔에서 전체 의원을 대상으로“2025년 경상북도의회 의원연수회”를 개최하였다. 2025년 10월 31일부터 11월 1일까지 경주에서 개최되는 「제32차 APEC 정상회의」의 준비 상황을 꼼꼼히 챙겨보고 적극 지원하기 위해 행사장인 경주화백컨벤션센터를 방문하는 일정으로 시작하는 이번 연수회는 다양한 주제의 특강을 통해 의원들의 의정활동 역량을 강화하고, 경상북도와 경북교육청 등 관계 기관과의 소통과 협력을 통해 경상북도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자리로 마련되었다. 연수회 첫 번째 특강에서는 지방의원의 청렴도를 높이고 지방의회의 주민에 대한 책임성 강화를 위한 목적으로 국민권익위원회 청렴연수원 안영진 강사가 청탁금지법, 이해충돌방지법, 반부패청렴법과 제도 등의 강의를 진행했다. 이어 두 번째 강연자로 나선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 김미정 전문강사는 4대폭력 예방교육에서 우리 사회에서 발생하는 성희롱과 성폭력의 배경을 실제 사례를 통해 분석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공직자의 올바른 역할을 강조했다. 마지막 강연은 인기 방송인 윤형빈 강사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