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3 (수)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 토착비리를찾아라 ! [제2탄]

“울진군 상수원 인근에 산림골재생산허가”
- 오니 폐기물 아닌 폐석토 -
- 무단방치 법적 문제 안 돼 -
- 발암물질 의심 폐기물 -
- 평해 남대천 상수원 유입 -
- 울진군 지난10년간 뭘했나 -

[경북투데이기동취재반] === 울진군이 남부군 민의 식수공급원인 남대천 상류에 산림골재생산허가를 해 환경단체와 지역 주민들이 반발하고 있다.


 

@  채석장과 상수원보호구역이자 자연생태 보전지역인 남대천 거리는 1.7k 에 불과하다 


2011년 주) 울진기업이 평해읍 산49 3필지 73,480면적에 토목용 토석 채취허가를 받아 202112월까지 운영해오다 연장허가를 받은 후 2022년 주) 태흥금속으로 소유권이 넘어간 상태에서 현재는 골재선별파쇄 및  세척업 허가까지 받아  모래를 생산 중이다.


 


골재 생산과정에서 사용하는 응집제는 발암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과도한 사용을 금지하고 있는데 토석 세척과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 오니()에 함유되어 있다.


 

@  야산에  무단방치된  폐기물 오니   강우에 쓸려 상수원으로 흘러가고 있다.


그런데 주) 태흥금속은 폐기물 오51-02-06 석재·골재폐수처리 오염 진흙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53] 폐기물 재활용 기준(14조의31항 관련) 에 따르지 않고 산지 일대에 무단야적해 강우 때마다 울진 남부 군민의 식수원인 남대천으로 흘려보냈다.


 

@ 사업장폐수가  상수원으로 유입되고 있는 현장 


그러나 울진군은 환경단체의 신고에도 오염된 진흙은 폐기물이 아니라며 단속을 회피하는 가운데 오늘 이 시간에도 끊임없이 군민의 식수원인 평해 남대천으로 유입되고 있다.


울진군의 정보 공개회피와 비협조에도 환경단체는 지난 5년간의 현장모니터링을 통하여 상수원 보호구역과 유 하거리 7k 내 포함된 사실을 발견하고 집중조사를 이어 가던 중 공장설립승인지역과 제한 지역도 포함된 위치임을 발견 군에 사실관계를 확인 중이라고 했다.


 


수도법시행규칙 별표2 [공장설립지역에서의 영위할수 있는 제조업범위]  곡물도정업, 곡물제분업, 기타 곡물, 빵류, 과자류, 차류, 등 만 가능하다고 명시하고 있고 이러한 업종도 단순 가공 포장하는 경우에만 허용하고 있다. 



@  차량세륜장과 취수장의 거리는 2.4K 에 불과하지만 폐기물처리내역 부존재로 밝혀졌다


정보공개법 제4(정보의 사전적 공개 등) 에 따르면 1. 식품ㆍ위생, 환경, 복지, 개발사업 등 국민의 생명ㆍ신체 및 재산 보호와 관련된 정보 2. 교육ㆍ의료ㆍ교통ㆍ조세ㆍ건축ㆍ상하수도ㆍ전기ㆍ통신 등 국민의 일상생활과 관련된 정보 등은 의무공개 대상이지만 지난 5년간 환경단체의 정보공개 청구를 일부 회피하거나 동문서답형 답변으로 일관 해왔다고 했다.


울진군 행정의 공익단체에 대한 업무 비협조가 비도덕적 수준을 넘어 직무태만과 권한남용 때문에 군민의 생명은 위협받고 있다.

 

 

 



투데이포커스

더보기
경북도의회 농수산위원회, 도민의 삶을 바꾸는 민생 의정 실현
[ 경북투데이보도국 ] === 경상북도의회 농수산위원회(위원장 신효광)는 2025년 상반기에도 도민의 삶 변화를 이끌어내는 현장 중심의 의정활동에 주력하며, 도내 농어업과 농촌의 민생 현안 해결에 앞장서 왔다. 올해 농수산위원회는 정책의 실행 가능성과 지역 현장의 목소리를 균형 있게 반영하는 데 집중하며,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 성과를 연이어 창출했다. 특히 농민의 눈높이에서 의견을 수렴하고 이를 정책에 충실히 반영함으로써, 농어업과 농어촌의 현실적인 과제에 발 빠르게 대응해 왔으며, 의회 본연의 기능인 정책 감시와 대안 제시에서도 탁월한 역량을 발휘하였다. 이러한 활동은 경북 농수산업의 지속 가능성과 농어촌 회복력을 강화하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미국산 사과 수입 반대…도민 생존권 수호에 앞장” 농수산위원회는 지난 7월 9일, 정부의 미국산 사과 수입 검토와 관련한 언론 보도에 즉각 대응해 긴급 성명서를 발표하고, 경북 농민들의 생존권 보호를 강하게 촉구했다. 위원회는 “국내 사과 생산의 62%를 차지하는 경북의 과수농가를 벼랑 끝으로 몰아넣는 결정”이라고 지적하며, 산업통상자원부가 한미 통상 협상 카드로 사과 수입을 언급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