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6 (수)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이란 핵시설 타격] ‘B-2 폭격기’와 ‘벙커버스터’의 위력

[이란 핵시설 타격] ‘B-2 폭격기벙커버스터의 위력

 

[ 경북투데이보도국 ]=== 최근 미국의 이란 공격 소식과 함께, 이스라엘이 이란의 포르도(Fordo) 핵연료 농축시설을 정밀 타격할 수 있는 벙커버스터 GBU-57(Bunker Buster Guided Bomb Unit - 57)’ 폭탄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미국 공군이 운용하는 전략폭격기 B-2 ‘스피릿은 이러한 벙커버스터 투하에 최적화된 기체로 알려져 있다. 미 공군에 따르면 이론상 벙커버스터는 무게만 감당할 수 있다면 어떤 폭격기에서든 투하가 가능하지만, 실제 작전에서는 스텔스 성능과 장거리 침투 능력을 갖춘 B-2가 가장 적합하다.

 

로이터 등 외신은 현지시간 21, 미국이 괌 기지로 B-2 폭격기를 이동시키고 있다고 보도했다. 물론 벙커버스터 외에도 지상 특공대에 의한 기습 공격이나 핵무기 사용과 같은 다른 옵션도 존재하지만, 작전 성공 가능성과 국제적 파장을 고려할 때 벙커버스터 사용이 가장 현실적이고 효과적인 선택지로 평가된다.

 

지하 벙커를 노리는 초강력 유도폭탄, GBU-57

벙커버스터(Guided Bomb Unit·GBU)는 폭발 전에 지하 깊숙이 침투하도록 설계된 유도폭탄을 통칭한다. 특히 미국이 보유한 GBU-57 A/B MOP(Massive Ordnance Penetrator)는 지하 핵시설이나 벙커, 터널 등 깊숙하고 견고하게 구축된 구조물을 파괴하기 위해 개발된 초대형 관통폭탄이다.

 

이 폭탄의 무게는 무려 13.6톤에 달하며, 최대 61미터 깊이까지 지하를 관통한 뒤 폭발한다. 필요시 여러 발을 연속으로 투하해 연쇄 폭발을 유도함으로써 더욱 깊은 목표물까지 타격할 수 있다.

이 초강력 폭탄을 운용하는 B-2 스피릿 폭격기는 미국 노스롭 그루만이 제작한 장거리 전략 폭격기로, 최대 18톤의 폭탄을 탑재할 수 있으며 공중급유 없이 최대 11km를 비행할 수 있다. 실제로 미 공군은 총중량 27.2톤에 달하는 GBU-57 A/B 2발을 동시에 탑재하는 데 성공한 바 있다.

 

산속에 숨겨진 이란의 포르도 핵시설

타격 대상으로 주목받는 포르도 핵시설은 테헤란 남서쪽 약 95km 떨어진 곰(Qom) 인근 산악지대에 자리잡고 있으며, 2009년부터 본격적인 가동에 들어갔다. 시설의 입지와 구조는 정밀한 공습을 어렵게 만들지만, GBU-57 같은 초강력 벙커버스터라면 충분히 대응이 가능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투데이포커스

더보기
경북, ‘수산피해 제로화’에 총력…양식현장 대응책 선제 가동
[ 경북투데이보도국 ] 경북도는 기후변화로 인해 매년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고수온 등 이상 해황으로부터 양식 분야 피해 제로화를 위해 ‘자연재해 대비 양식장 관리요령’ 책자를 제작해 양식어가 등에 배부한다. 이번에 제작해 배부하는 ‘자연재해 대비 양식장 관리요령’ 에는 실제 양식 현장에서 재해 상황별 누구나 손쉽게 대응할 수 있도록 양식 품종별 맞춤형 사육관리 방법 등이 상세히 수록되어 양식어가의 피해 저감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포항에서 강도다리를 양식 중인 어업인 A씨는 “여름철 불청객인 고수온 등 자연재해에 대비할 수 있는 관리요령이 정리된 책자가 실질적으로 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경북은 도내 86개소 양식장에서 강도다리, 방어, 넙치 등 총 2천 여만 마리 양식생물을 사육하고 있으며, 이 중 고수온에 취약한 강도다리가 84% 이상 차지하고 있어 철저한 관심과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지난해에는 경북지역에 49일간 고수온 특보가 지속되며 31억 원 규모의 피해가 발생, 역대 최장기간 및 최대 피해액을 기록한 바 있다. 이에 따라, 경북 어업기술원에서는 고수온 피해 저감 양식 기술 개발이 절실하다는 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하여 포항 청진리 지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