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3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김준열 경북도의원, 구미경제자유구역 지정 촉구 5분자유발언

-통합신공항 개발 통한 지역경제 부활 위해 경제자유구역 지정 반드시 필요-
-공항과의 인접성, 도시 인프라와 산업의 연계성 등을 고려했을 때 구미가 최적지-


[경북투데이보도국] === 경북도의회 건설소방위원회 소속 김준열 의원(구미, 민주)이 경상북도의회 본회의 5분자유발언을 통해 통합신공항시대를 대비한 구미경제자유구역 지정을 촉구하고 나섰다.


이날 김준열 의원은 대구와 경북의 경제자유구역 실적을 비교하며, “경제자유구역의 출발점은 같았지만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는 대구와 경북이 10년 넘게 벌어졌다.”고 하면서, “더욱 큰 문제는 앞으로 그 차이가 점점 더 크게 벌어질 것이라는 우려이다.”고 주장했다.

 

또한, 김 의원은 2014년 구미디지털산업지구가 경제자유구역에서 해제된 것에 대해 “이로 인해 IT전문대학원, 국제의료기관 등을 유치해 첨단 외국인 산업단지로 조성하려고 했던 구미시의 계획은 물거품이 되었다. 특히, 수도권 규제완화 움직임과 맞물린 대기업의 수도권을 향한 이탈을 막을 수 없어 경제자유구역이 해제된 2014년 이후 구미의 연간 수출량은 323억불에서 2020년 195억불로 약 40% 급감하는 등 구미 경제는 침체되기 시작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김 의원은 “경북지역 경제자유구역의 활성화와 구미 경제의 부활 그리고 다가오는 통합신공항시대를 대비하기 위해 구미에 경제자유구역을 지정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 의원은 인천국제공항과 연계해 송도, 영종, 청라 국제도시로 거듭나고 있는 인천경제자유구역의 사례를 언급하며, “경상북도도 통합신공항과 연계해 구미에 경제자유구역을 지정·개발한다면 구미 경제는 물론 경북 경제를 한 단계 도약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IT산업에 특화된 구미의 강점에 더해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통해 외국인 투자유치 제한을 대폭 철폐하고 국제학교와 외국계 병원 유치, 5성급 호텔과 외국인 주거단지 조성 그리고 전시컨벤션 기능을 강화한다면 글로벌 기업의 유치와 더불어 이와 연관된 대기업을 다시 구미로 불러들일 수 있을 것이다.”고 역설했다.


마지막으로 김준열 의원은 “신공항과 경제자유구역지정을 기회로 망국적인 수도권집중과 경북을 떠나가는 인재유출을 막고 인식의 전환과 함께 지역으로 사람들을 다시 불러 모아야 한다.”고 하며, “공항과의 인접성, 도시 인프라와 산업의 연계성 등을 고려했을 때 최적지 구미에 조속히 지정하여 스마트 모빌리티, 항공, 물류산업 등 세계로 나아갈 경북의 미래를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투데이포커스

더보기
울진군 골재취취허가 금품수수 수사 확산…
[ 경북투데이보도국 ] === 대구지검 영덕지청이 22일 골재 채취 허가를 미끼로 금품을 수수한 혐의로 경북 울진군수 후보 캠프 관계자 A씨(60대)와 돈을 건넨 골재업자 K씨(70대)를 구속했다. 대구지법 영덕지원은 같은 날 영장실질심사에서 “증거 인멸 우려가 있다”며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수사에 따르면 A씨는 2022년 지방선거 당시 울진군수 후보 캠프에서 활동하며 K씨에게 “해당 지역 골재 채취 허가를 내주겠다”며3천만원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K씨는 2021년에도 이세진 전 울진군의장에게 1억 원 상당의 금품을 제공한 혐의로 징역형 집행유예를 선고받은 전력이 있다. ▲농업진흥구역 허가 의혹 문제가 된 골재 채취 예정지는 원칙적으로 농업 목적 외 개발행위가 제한되는 농업진흥구역으로 알려졌다. 그럼에도 울진군 담당 부서가 허가를 내준 정황이 드러나면서, 수사가 군 내부로 확대될 경우 이 역시 ‘비선 개입’ 의혹이 불거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복구 과정에서도 정상적인 행정 절차가 아닌 비공식 개입이 있었다는 제보가 이어지며 지역 사회의 파장이 커지고 있다. ▲“척산천 정비 맞춤형 사업” 의혹…예산 집행 투명성 논란 이번 구속 사건은 k씨가 월송 골